top of page
검색

척추의 불안정성이란? 스피노메드의 안정성

작성자 사진: 세영 이세영 이

허리가 아픈 사람들, 참으로 병명이 많습니다. 이유도 다양합니다. 척추압박골절, 허리디스크, 척추굽음증, 척추측만증, 척추관협착증, 척추전방전위증...


하지만 한마디로 말씀드리겠습니다. 바로 척추의 불안정성입니다. 불안정하다는 뜻은 잘 알고 있을겁니다.


박스를 잘못 쌓으면 그 박스는 넘어질겁니다. 차곡차곡 바르게 쌓으면 높이 쌓아도 넘어지지 않습니다. 바로 불안정성과 안정성의 차이입니다.


불안정하다는 것은 위의 그림처럼 "지진이 나서 건물이 무너진다" 라고도 할 수도 있습니다.



인간의 척추 또한 자연의 이치와 같습니다. 척추의 불안정성 때문에 허리가 아프고 척추가 굽어지고 문제가 발생합니다. 척추의 불안정성을 안정화시켜 주면 거의 모든 척추질환은 좋아집니다. 적어도, 더 나빠지지는 않습니다.






척추의 불안정성이 있는 사람들은 근육의 긴장으로 인한 허리통증을 호소하며 척추가 굽어지는 증상이 반복되어 악순환됩니다. 스피노메드의 착용은 척추 전체의 안정성을 제공하고 그로인한 부족한 척추근육에 힘을 받혀주어 척추 주변 근육의 긴장을 이완시켜주고 더불어 장기적으로 착용시 근육의 증강이 이루어집니다. 실제로 스피노메드를 만드신 미니애 교수님과 동료교수이신 파이퍼교수님이 임상논문으로 증명을 하였습니다.



조회수 26회댓글 0개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척추압박골절 후 척추 곡선 변화

척추압박골절 치료 후 척추 곡선의 변화 는 흔히 발생하며, 이로 인해 척추의 균형과 기능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압박골절 후 척추뼈의 높이 손실과 변형은 척추 곡선을 비정상적으로 변화시키고, 이는 통증, 자세 불균형, 그리고 추가적인...

척추압박골절 침상안정은 첫걸음이자 핵심

​척추압박골절 후 2~3주간의 침상안정이 중요한 미유 ​ 척추압박골절 후 2~3주간의 침상안정은 뼈의 치유 과정 중 중요한 칼러스 형성 과정과 밀접한 연관이 있습니다. 이 시기의 안정은 초기 칼러스 형성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골유합의 성공을...

골유합과 뼈의 재생을 방해하는 골시멘트

TLSO 보조기가 골유합을 방해할 수 있는 이유는 주로 강제적인 척추 고정과 자연스러운 치유 과정의 억제와 관련이 있습니다. 이를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자연스러운 미세 움직임 제한 골유합 과정에서 골절 부위에 미세한 움직임(미세전단력)은...

Comments


bottom of page